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- 원본과 복사본
- var
- 리커젼
- vscode
- node.js
- css기초
- 개발툴
- appendChild
- complexity
- APPEND
- AWS기초
- JavaScript
- CSS
- let
- flex기본
- scope
- IT
- 클로저
- prototype
- Big-O notation
- 기초공부
- AWS
- AWS조사
- 재귀함수
- 메모이제이션
- 코드스테이츠
- node.js설치
- 인터프리터
- 스코프
- 생활코딩
- Today
- Total
목록전체보기 (107)
Jveloper

server basic set up & mongoDB testing - postman 을 활용해서 post 요청을 날렸고 terminal 안에서 실행중인 mongoDB 에서 test 했다 mongoose 와 내 local 환경의 mongoDB 와 이어주는 작업 DB schema 작성 포스트맨 사용 - 현재 서버와 DB를 이어주는 작업중이라 클라이언트단에서의 fake 요청이 필요했기 때문에 사용 - 포스트맨에서 어떤식으로 요청했었는지 기억하기 위함 * migration mongoDB * bulk * mongoDB cli * mongoDB collection -> terminal 환경에서 작성을 하면 vscode에 적혀있던 모든 fake data를 실행시키고 새로운 파일을 만들어서 그거에 관련된 코드도 작업..

eslint + 프리티어 설정 - 나중에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사람들과 코드를 머지할때 충돌이 나면 안되기 때문에 동일하게 맞출수 있는 설정부분은 초반에 다 잡고 가야한다 - airbnb 설정값으로 설정하기 - 이거는 기본 셋팅방법 git issue 어플을 만드려는 목표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기에 react-native-cli 환경을 사용할지 expo-cli 환경을 사용할지 결정이 필요했고, react-native-cli 로 결정이 나서 이 환경에 맞게 eslint 설정까지 다 맞추고 깃으로 올려놨는데 로컬에서는 잘 돌아가던 react-native-cli 가 git fork & clone을 하고 그걸로 돌리려하니 경로설정의 문제인지 애뮬레이터가 돌아가지 않는 이슈가 발생했다 그래서 한참을 헤매다 결국 해..

kickoff meeting(회의록) DB schema git flow

service architecture UI 기초설계 (prototyping tool) Clients(user, partner) - Server -DB Server - DB Routing 전체 flow DB schema 는 아직 짜는중... DB schema 까지 해결되면 어느정도 초반에 잡아야 할 틀은 다 잡았다고 판단된다 이야기를 많이하자 구체적으로 들어갈수록 팀원들이 생각하는부분은 다 다르기 때문에 내가 생각하는 부분을 확실하게 이야기하지않으면 나중에 무조건 꼬인다 !
Amazon EC2 Amazon Elastic Compute Cloud(Amazon EC2)란? AWS의 대표적인 상품이며 여러가지 서비스들중에서 가장 중요하고 가장 먼저 생겨난 서비스이며 상품들 중에서 가장 범용적인 기능을 가지고있다. 간단히 말하면 ec2는 가상의 컴퓨터를 제공해주며 이 컴퓨터는 원격으로 제어가 가능하다. *기존의 서버호스팅과 클라우드 서비스의 차이점 1. EC2에서 제공하는 기능 Instance: "가상 컴퓨터 환경 제공(쉽게 말해 컴퓨터 한대를 빌려준다)" AMI(amazon machine image): "서버에 필요한 운영체제, 소프트웨어들로 쉽게 구성하여 인스턴스를 제공" Instance Type: "인스턴스를 위한 CPU, Memory, Storage, Networking 용..

내가 이번에 맡은Part는 AWS - RDS 이다 RDS(Relational Database Service) 클라우드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더 쉽게 설치, 운영 및 확장할 수 있는 웹 서비스입니다 MySQL, Oracle, SQL Server, PostgreSQL, MariaDB, Aurora(MySQL과 호환)을 비롯한 총 6가지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지원하고 있습니다. RDS의 장점 : 사용가능한 DB제품 참고링크 : https://www.slideshare.net/awskorea/choosing-the-right-aws-database-seungdo-yang : AWS - RDS (slide) 그렇다면 RDS의 단점은 어떤것이 있을까? 1. 비용 - RDS와 EC2의 비슷한 스토리지를 비교할 경우..